북한의 청년층 인구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15년 새 북한의 평균 수명은 오히려 줄어들고 영유아 사망률 등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사회연구원은 북한 중앙통계국이 유엔인구기금(UNFPA)에 제출한 2008년 인구센서스를 분석한 결과 20∼34세 인구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29일 밝혔다. 북한이 심각한 경제난과 식량난을 겪었던 1990년대 영유아, 또는 청소년기를 보내 건강수준이 매우 취약하거나 영양결핍과 각종 질환, 열악한 보건위생으로 상당수가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한 것이다.
보사연에 따르면 북한의 총인구는 2008년 10월 현재 2405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1993년 인구 2121만명보다 연평균 0.84% 증가한 것으로 청년층이 줄어든 가운데 인구가 늘어 경제활동을 담당하는 청년층의 가중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영유아사망률과 임신이나 출산과정에서 사망하는 모성사망비도 15년 전보다 높아졌다. 이는 국가의 사회경제 및 보건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다.
영아사망률은 출생 1000명당 19.3명으로 15년 전 14.1명보다 5.2명 많아졌다. 모성사망률은 출생 10만명당 77.2명으로 15년 전 54명보다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두 남한보다 5배 이상 높은 수치다.
북한의 평균 기대수명은 남성 65.6세, 여성 72.7세 등 69.3세로 1993년 센서스 당시 72.7세보다 평균 3.4세 낮아졌다. 이는 남한의 1985년 수준으로 북한이 최근까지 발표했던 기대수명 74.5세보다는 5.2세 낮다.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건강수명’도 북한은 59세 밖에 되지 않았다. 2008년 남한의 기대수명(79.8세), 건강수명(71세)보다 10년 이상 짧다.
보사연 황나미 연구위원은 “북한 주민의 건강수준 악화는 90년대 중반 이후 국제사회와 남한의 대북 지원에도 보건의료체계가 여전히 복구되지 못했음을 반영하는 것”이라며 “현재 북한의 보건의료 인프라 복구는 인적, 물적 자원의 부족으로 외부의 지원 없이는 자생력 확보가 어려운 상태”라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 1993년 인구센서스를 실시한 후 15년 만인 2008년 한국의 재정지원과 UNFPA의 기술지원을 받아 인구, 경제활동, 주거환경 및 건강 등 53개 항목에 걸쳐 인구센서스를 실시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