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연장 필요한 이유 1위 '고기업 10곳 중 6곳은 정년연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241개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61.4%가 "법적 권고 기준인 60세 등으로 정년을 연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년연장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복수응답을 구한 결과 '고령근로자의 경험, 노하우를 활용할 수 있어서'(48.6%)가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40.5%), '직원들이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어서'(36.5%), '숙련 인력 부족에 대비하기 위해서'(30.4%) 순이었다.
또 '고령층의 빈곤화 및 양극화의 대책이라서'(16.2%), '근로자의 사기 진작에 도움이 되어서'(14.2%), '인력 부족 방지를 위해서'(10.1%), '연금 재정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서'(6.1%)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이처럼 정년 연장 필요에 대해서는 60% 이상이 동의하지만 정년 연장 계획을 실제로 잡은 기업은 이보다 드물었다.
현재 입사 기준에 정년이 있는 기업(151개사) 가운데 정년연장 계획이 있는 기업은 32.5% 정도였다.
정년연장 방법으로는 '정년 연장형 임금피크제'를 선택한 기업이 40.8%로 가장 많았고 '정년만 연장'(20.8%), '정년 보장형 임금피크제'(16.3%), '재고용제도'(12.2%) 등의 순이었다.
또 정년연장 기간을 묻는 질문에는 '3년'(40.8%), '5년'(30.6%), '2년'(16.3%) 등의 순으로, 평균 4.1년 연장할 것으로 집계되었다.
정년연장이 회사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이 46.4%로 가장 많았으며, '영향 없다'는 36.4%, '부정적인 영향'은 17.2%로 나타났다.
한편, 정년연장이 필요하지 않다는 기업(93개사)에게 그 이유를 복수응답 형식으로 구한 결과 '비용대비 효율성이 떨어져서'(40.9%)라는 답이 많았다.
또 '인력운용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서'(29%), '실효성이 부족해서'(24.7%), '승진 지체 등 인사적체가 심화되어서'(22.6%), '인건비가 증가해서'(20.4%), '신입사원 채용이 어려워져서'(17.2%) 등을 꼽았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