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상훈 기자 = 보건복지부는 심정지 고위험환자를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렌털 시범사업을 1년간 실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자동제세동기(AED)로 불리는 자동심장충격기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전기 충격을 심장에 보내 심방이나 심실의 세동(細動)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응급 심폐소생 장비다.
그동안 복지부는 예산지원을 통해 작년 말까지 공항 및 철도 역사 등 다중 이용시설과 119구급차량 등에 4천119대의 자동제세동기를 설치했으나, 아직 설치율은 물론 이용 실적도 매우 낮다.
이런 가운데 심정지환자 발생장소가 주로 가정(전체 발생건수의 60.5%)인 점을 고려해 가정에 비치하는 사업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사업 예산은 응급의료기금 보조금 결제 전용카드 사업자인 하나은행의 기부금 1억원과 복지부 자체예산으로 충당된다.
공모를 통해 선정된 렌털사업 시범 사업자는 가천의대 길병원이다.
길병원은 심정지 고위험 환자 60여명을 선정해 이들의 가정에 자동제세동기를 제공하고 가족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도 하게 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자동제세동기의 이용률이 낮아 좀 더 활용도가 높은 장소에 배치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며 "이번 시범사업이 자동제세동기 사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11/07/18 12:0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