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상훈 기자 = 우리 사회와 기업의 출산친화 정도를 수치화한 '출산친화지수'가 개발된다.
보건복지부는 출산 관련 정책과 제도, 국민 인식과 관행 등을 수치화한 우리사회의 출산친화지수를 개발,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개정을 통해 내년부터 국가기념일이 되는 '인구의 날(7월11일)'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지수 개발은 인구경제학자와 인구사회학자, 보건의료 전문가가 주축이 된 전문가 집단이 맡을 예정이다.
이 지수에는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의 출산 정책과 사업은 물론, 기업의 복지정책과 근무 관행이 얼마나 출산친화적인지에 대한 평가도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 관계자는 "점진적 출산율 회복을 위한 기반구축과 고령사회 대응체계 확립을 목표로 올해부터 적용된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대책의 핵심 개념이 '일과 가정의 양립'인 점을 고려해 기업의 출산관련 관행에 초점을 맞춰 지수를 산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아직 구체화 되지는 않았지만 기업의 업종별 규모별 출산친화지수 산출도 가능할 것"이라며 "이와 함께 일과 가정 양립에 관한 표준 기업 모델도 만들어볼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복지부는 인구구조의 불균형이 유발하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악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을 제고하는 활동과 함께, 올해 물꼬가 트인 지역단위 기업 CEO 포럼을 정착시키기 위한 과제도 적극 발굴하기로 했다.
한편, 아이낳기 좋은세상 운동본부는 8일 경주에서 민간지도자와 자치단체 공무원 등이 참여하는 워크숍을 열고 올 한해 출산장려에 힘쓴 유공자에게 시상하고 내년 사업방향을 논의한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11/12/07 12:0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