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한 해를 마무리하고 다가오는 새해를 맞이하는 12월이다. 12월은 연일 빼곡하게 잡혀있는 송년회, 신년회 약속에 몸뿐만 아니라 마음까지 더욱 바빠지는 시기다. 원하던 원하지 않던, 연례행사처럼 마주치게 되는 송년회와 신년회는 연말연시 분위기와 어우러져 늦은 밤까지 술자리로 이어지기 마련. 직장은 물론 각종 동호회나 친구들과의 만남에 있어서도 빠질 수 없는 술 약속으로 점철된 송년회와 신년회 시즌에는 특히 허리 건강에 주의가 필요하다.
◇술 때문에 척추가 위험해질 수 있다?= 음주로 인해 척추건강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것은 어찌 보면 의아하게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과음한 다음날 척추질환이 악화돼 요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술이 요통을 유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는 알코올이 혈관벽을 손상시키거나 콜레스테롤을 쌓이게 해 디스크에 혈액이 공급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척추 뼈의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크와 디스크 주위의 근육, 인대에 충분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지 못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과음을 하면 알코올 해독을 위해 단백질을 많이 사용하게 돼 근육과 인대로 갈 단백질이 부족해진다. 자연히 척추를 지탱해 주는 근육과 인대가 약해지고 요통이 심해진다. 또한 장시간의 술자리는 허리에 무리를 줘 음주 후에 요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고도일 고도일병원 병원장은 “과음을 한 뒤 허리를 보호하는 근육이나 인대가 약화되고 신체보호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무리한 동작을 하다가 요통이 생기거나 허리 디스크가 탈출돼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며 “음주 후에는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술자리 후 허리가 아픈 이유= 술자리에서 무심코 하는 몇 가지 행
동들로 인해 요통이 생길 수도 있다. 첫째, 술자리에서의 흡연 때문이다. 흡연은 비타민 D의 합성을 막아 칼슘의 흡수를 방해하고 뼈의 건강을 해친다. 뿐만 아니라 흡연은 기침을 유발하는 데 기침 시에 복압이 상승하고 그로 인해 디스크에 압력을 줘 디스크 탈출을 유발하기도 한다.
둘째, 술과 안주로 인한 비만 때문이다. 술자리가 갑자기 잦아지면 한 달 사이에도 몸무게가 3~4㎏ 이상 쉽게 늘어날 수 있다. 특히 술은 지방을 분해하는 단백질효소체계를 파괴해 지방 분해를 못하게 되기 때문에 살이 더 찌게 되는데 체중이 1㎏ 증가하면 허리가 받는 하중은 3~5㎏ 정도 늘어나 요통이 발생하기 쉽다.
셋째, 술자리에서의 나쁜 자세 때문이다. 한 곳에 앉아 오랜 시간을 술을 마시면서 자세는 점점 흐트러지게 된다. 문제는 평소 요통이 있더라도 술이 들어가면 통증을 못 느낄 수 있다는 것. 통증이 없다보니 평소 보다 오래 앉아 있게 되고 또 술에 취해 행동이 거칠어지면서 허리에 무리를 주기 쉽다.
이외에도 겨울철 낮은 기온도 문제다. 겨울철 기온이 떨어지면 허리 주위 근육이 수축되거나 긴장돼 굳어진다. 이 때문에 척추와 추간판을 보호해야 할 근육이 경직돼 허리에 부담을 주면서 허리 통증이 심해지기 쉽다. 고 병원장은 “술을 많이 마시면 콜레스테롤 레벨이 올라가면서 혈관벽이 좁아져 디스크로 영양분이 적게 가게 된다. 이로 인해 디스크 퇴행이 빨리 올 수 있다”며 “음주 시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고 귀가 후 따뜻한 물로 샤워하는 등 주의사항을 생활화하면 허리건강도 지키고 즐거운 술자리도 가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주호 기자
[Tip. 건강한 척추를 위한 술자리 필수조건]
- 밥을 먹고 술을 마신다.
- 술을 마시는 중간에 물을 자주 마신다.
- 술자리에서 흡연하지 않는다.
- 바른 자세로 술을 마신다.
- 술자리에서 자주 움직인다.
- 따뜻한 옷으로 체온을 유지한다.
- 술 약속은 3일에 한번 꼴로 잡는다.
저작권자ⓒ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기사는 디지털뉴스 저작권신탁관리기관인 한국언론재단이 정하는 기준과 방법에 따라 이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