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생산자물가 2.8% 상승…2년來 최저치


등록일 2012-04-09



서울 중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주부들이 삽겹살을 고르고 있다.(자료사진)

서울 중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주부들이 삽겹살을 고르고 있다.(자료사진)

 

3월 생산자물가 2.8% 상승…2년來 최저치

소비자물가 안정에 청신호…FTA 효과는 '아직'



(서울=연합뉴스) 방현덕 기자 = 국내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이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9일 내놓은 '생산자물가지수'를 보면 3월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 올랐다. 2010년 3월 2.6%를 기록한 이후 24개월 만에 처음으로 2%대로 복귀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에 선행하므로 소비자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3.5%였다.

분야별로는 공산품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1% 올라 전달보다 상승폭을 줄였다. 특히 2월에 15.2%나 뛰었던 석유제품의 상승률이 10.6%에 그치며 전체적인 상승폭이 완화됐다.

한은 관계자는 "국제유가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폭이 2월보다 축소되며 전체 지수하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농수산품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떨어졌다. 2월의 -4.4%에 비하면 낙폭이 다소 축소됐다. 농수산품 중 축산물은 전년 동기보다 16.7% 감소했다. 특히 돼지고기가 도축 마릿수 증가로 36.9% 떨어졌다.

전력ㆍ수도ㆍ가스와 서비스 품목의 상승률은 각각 전년 동월 대비 10.8%, 1.3%로 지난달과 비슷했다.

전월 대비 생산자물가지수는 0.6% 오르며 2월보다 0.1% 떨어졌다.

3월 생산자물가지수에 한미자유무역협정(FTA) 발효의 효과는 미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관계자는 "배기량 2,000cc 이상의 자동차 개별소비세가 내려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1~2% 감소한 것 이외에는 하락 품목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4~5월 중 자동차부품이, 하반기에는 석유화학 제품이 FTA 발효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2/04/09 06:00 송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