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률 압박에 바늘방석' 눈물겨운 지방대 교수들


등록일 2012-08-24
정보제공처 뉴스와이즈



 

 

'취업률 압박에 바늘방석' 눈물겨운 지방대 교수들


호남지역 대학에 근무하다 지난해 수도권 대학으로 옮긴 ㄱ교수(52)는 작년까지 취업시즌만 되면 전화통을 붙들고 살았다고 밝혔다. 졸업생들의 취업을 부탁하기 위해서다. 그는 “대학 동창은 물론 고교 동창들에게까지 제자의 취직을 부탁했다”며 “그렇게 해도 실제로 취업에 성공하는 제자는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호남지역은 영남지역에 비해 취업할 수 있는 큰 기업체 수도 제한적이었다”며 “솔직히 지방대학에 있을
때를 생각하면 아찔하다”고 말했다. ㄱ교수는 “취업률이 크게 떨어지자 대학본부로부터 학과를 아예 없애겠다는 ‘특명’이 떨어졌다”며 “그땐 하루하루가 바늘방석이었다”고 기억했다.


대전지역 대학의 ㄴ교수(48)는 “학교가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취업을 하지 못한 졸업생을 학교 행정인턴으로 채용하기도 했다”며 “행정인턴을 하게 되면 졸업생이 건강보험에 가입되면서 취업자로 분류돼 교육과학기술부 통계에 잡히기 때문”이라고 털어놨다.


지방대 교수들이 이처럼 취업률에 목매다시피 하는 것은 정부의 재정지원과 학자금 대출 제한 평가기준에서 대학의 취업률이 핵심적인 지표이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지방대학들은 취업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교수들을 독려하고, 학교 재단의 눈치를 보면서 취업률 높이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는 게 현실이다.


전북의 한 대학은 지난해 대출제한 대학에 포함된 뒤 학내 6개 학과를 줄이는 등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이 역시 취업률 지표를 끌어올리기 위한 고육지책이었다.


재정지원 제한 대학으로 지정된 강원도의 한 대학은 지난 6월 27개 학과별 취업률을 학내 전광판에 공개했다. 이 학교 관계자는 “교수들의 학생취업률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시행하게 됐다”며 “취업률이 낮은 교수들에게는 적지 않은 부담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영남지역의 ㄷ교수(53)는 “신입생 정원을 채우기도 힘든 실정인데 취업률까지 따져야 하니 스트레스가 크다”며 “그러나 부실 대학으로 지정되는 걸 피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다 동원해야 하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일부 대학은 편법으로 취업률을 부풀렸다가 감사에 적발되기도 했다. 교과부는 최근 전국 32개 대학의 취업률 통계실태를 감사해 28개 대학이 취업률을 허위공시한 사실을 확인했다. 교과부는 해당 대학에 취업통계를 조작한 교직원 164명을 징계토록 했다. 한 지방대학 관계자는 “취업률이 낮은 32개 대학만 조사를 벌였기 때문에 이 정도이지 실제로 취업률을 부풀리는 대학은 훨씬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일·박용근 기자>
저작권자ⓒ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기사는 디지털뉴스 저작권신탁관리기관인 한국언론재단이 정하는 준과 방법에 따라 이용해야 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