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매매피해 청소년 4명 중 1명은 남자청소년이며 성매매경로는 조건만남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가족부가 성매매 노출 청소년들의 공간 패턴을 지역의 물리적 특성에 비추어 살펴보는 ‘성매매 피해 청소년의 공간패턴 연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가출 또는 가출경험이 있는 청소년 398명을 대상으로 과거 가출 후 주거장소와 성매매장소, 현재 거주지와 주로 노는 장소를 중심으로 조사했다.
설문에 응답한 청소년들 가운데 성매매경험이 있는 경우는 19.6%(78명)이며, 이 가운데 여자청소년은 84.6%(66명), 남자청소년은 15.4%(12명)로 나타났다.
성매매 피해대상이 여자 청소년뿐 아니라 남자 청소년들까지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남자 청소년을 위한 성매매방지대책도 필요함을 알려주는 대목이다.
성매매 피해 청소년들이 경험한 성매매 경로는 번개 및 조건만남이 53.2%로 절반 이상이었으며 노래방도우미(14.7%), 보도방(14.1%), 키스방(3.9%), 대딸방(1.92%) 순으로 나타나 청소년 성매매 피해의 심각성을 보여주었다.
성매매 장소는 모텔(65.8%), 노래방(17.1%), 자동차(6.6%) 순이었는데 청소년 본인이 장소를 선정한 경우가 46.3%에 이르렀다.
설문에 응답한 청소년들이 노는 장소로는 PC방과 노래방이 56.4%였고, 놀이터, 공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출 후 주거 장소로는 친구집(37.5%), 쉼터(20.7%) 등에 주로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성매매 피해청소년들의 공간패턴을 분석한 결과, 이들 대부분은 지하철 역사 500미터 안에 90%(60건 중 54건)가 밀집돼 있어 특정 지하철 역사 반경 500미터 반경의 모텔이나 노래방 등에 대한 단속과 감시활동이 강화돼야 할 것으로 조사됐다.
박영신 기자
등록일:2012-12-07/수정일:2012-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