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일교차가 크고 황사가 발생하는 봄철. 알레르기성 결막염 탓에 가려움, 충혈, 이물감, 건조감 등의 중상으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다. 자연스럽게 점안제 사용이 는다. 하지만, 올바른 사용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8일 '의약품안전사용매뉴얼 - 점안제, 올바르게 사용하기'란 책자를 발간, 배포했다.
책을 보면, 일반인이 약국에서 사서 사용할 수 있는 점안제로는 항히스타민제 함유 점안액과 인공눈물이 대표적이다.
항히스타민제 성분 점안제는 흔히 '안약'으로 불린다. 가려움과 충혈 같은 알레르기 결막염 초기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주성분은 크로모글리크산나트륨, 크로몰린나트륨, 레보카바스틴염산염, 케토티펜푸마르산염 등이다.
졸음이나 진정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운전이나 정밀한 기계를 조작하기 전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6세 미만의 소아와 65세 이상의 노인은 이런 부작용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의사의 처방 없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약성분이 희끄무레한 형태로 분산된 `현탄액' 상태의 점안제는 사용 전에 잘 흔들어 써야 한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한 증상을 완화하는 점안제다. 포비돈, 카보머, 세트리미드 등을 주성분으로 한다.
항히스타민제나 인공눈물을 사용해도 건조, 충혈, 자극이 72시간 이상 이어지면 사용 중단하고 안과진료를 받아야 한다.
모든 점안제는 사용 후 눈을 감고 콧등 옆 눈물관을 1분 정도 눌러주면 약 성분이 인체 다른 부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두 종류 이상의 점안제를 사용할 때에는 약물 흡수를 높이고 약물끼리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점안해야 한다.
약물을 떨어뜨릴 때에는 용기 끝이 눈꺼풀이나 속눈썹에 닿지 않게 해 세균오염을 방지하고, 약의 색이 변했거나 혼탁해진 것은 버려야 한다. 감염 우려가 있으므로 점안제는 여러 사람이 같이 써서는 안 된다.
콘택트렌즈 사용자는 렌즈를 뺀 상태에서 안약을 넣고, 점안 15분 후 정도에 렌즈를 착용하면 약 성분이 렌즈에 흡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눈을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올바른 약물 사용뿐 아니라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식약처는 조언했다.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웹사이트(http://drug.mfds.go.kr)의 '의약품분야서재' 항목의 '이북(e-book) 리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4/18 09:0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