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치아에 금이 가거나 깨지는 현상이 40~50대에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치과 양성은ㆍ김신영 교수팀은 2009년 3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치아에 금이 가거나 깨져 수복치료가 이뤄진 72개 치아를 분석한 결과, 59.8%가 40~50대 환자에 집중됐다고 18일 밝혔다.
수복치료는 충치 등으로 치아에 문제가 생겼을 때 치아 전체를 치료재료로 감싸서 본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치료법이다.
치아를 연령대별로 보면 50대 32%, 40대 27.8%, 60대 19.4%, 30대 13.9% 등의 순이었다.
치아균열은 아래턱 첫 번째 어금니(27.8%)에서 가장 많았고 위턱 첫 번째 어금니(25%), 위턱 두 번째 어금니(22.2%), 아래턱 두 번째 어금니(19.4%) 등이 뒤를 이었다.
치아에 균열이 생기면 주로 음식을 씹거나 물었다가 뗄 때 통증이 느껴진다. 또 차가운 것에 아주 민감해지기도 한다.
이런 균열을 그냥 놔두면 통증이 심해지는 것은 물론 수복치료만으로 기능회복이 어려워져 치아를 빼야 하는 처지가 될 수도 있다.
의료진은 치아균열을 예방하려면 질기고 딱딱한 음식을 가급적 피하고, 음식을 씹을 때 한쪽 치아만 사용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양성은 교수는 "평소에는 통증이 없다가 음식을 씹을 때만 시큰거린다면 치아에 금이 간 것은 아닌지 의심해야 한다"면서 "치아균열이 많이 발생하는 40~50대에는 주기적으로 치아건강을 관리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미국 근관치료저널(Journal of Endodontics) 4월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4/18 10:55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