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휴가철, 해파리 조심하세요!
- 해파리에 쏘였을 때는 쏘인 부위에 식초 세척 등 잘못 알려진 민간요법은 금지 -
□ 보건복지부(장관 진영)는 최근 전남지역에 해파리 주의보가 발령됨에 따라 여름 휴가철을 맞아 바닷가를 찾는 피서객에게 해파리 쏘임 사고 주의와 해파리에 쏘였을 때 행동요령을 당부하였다.
□ 최근 전남지역에 대량 출현한 ‘보름달물해파리’는 이에 쏘일 경우, 쏘인 부위에 통증, 피부 발진 등 국소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민간요법으로 알려진 식초를 상처에 바르는 것은 금기이다.
* 식초는 입방해파리(맹독성, 전신반응 유발)에만 사용가능하나 쏘인 상처를 보고 해파리 종류를 구분하기 어려움
○ 해파리에 쏘였을 때는 즉시 물밖으로 나와 본인 또는 일행이 안전요원에게 알려 다른 사람이 쏘이지 않도록 주변을 통제토록 하고 안전요원의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
○ 쏘인 부위는 바닷물로 세척하되,
- 수돗물이나 생수, 알콜 등으로 세척하면 안되고, 쏘인 부위를 문지르거나 붕대로 감는 등 압박하면 안된다.
○ 세척 후 해파리 촉수가 피부에 남아있는 경우, 신용카드와 같은 플라스틱 카드로 조심스레 긁어서 제거하면 되는데,
- 이때에도 조개껍데기 등 오염된 물체를 사용하면 안된다.
□ 해파리에 쏘인 부위에 통증이 지속되거나 온 몸이 아프고 오심, 구토, 식은 땀, 어지럼증 등 전신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맹독성 해파리에 쏘였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즉시 119에 신고하여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 해파리에 눈을 다쳤을 경우에도 안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 보건복지부는 해파리 쏘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바닷가에서 해파리를 발견하면 즉시 안전요원에게 신고하고, 죽은 해파리라도 만지지 않도록 하며 해변을 걸을 때는 신발을 신을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해파리가 자주 발견되는 곳은 피하도록 하고, 해변을 방문할 경우에는 국립수산과학원 홈페이지(
http://www.nfrdi.re.kr)에서 해파리 위험지역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미리 숙지하여 해파리 쏘임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피서를 즐길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는 해파리 쏘임사고가 발생할 것에 대비하여 전국 해안지역 소재 보건소와 응급의료기관에 해파리 응급환자 처치 요령 포스터를 배포하고, 해파리에 쏘였을 때 행동요령에 대한 홍보물 도안을 제작하여 해파리 쏘임 사고가 우려되는 지자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http://www.mw.go.kr), 중앙응급의료센터(
http://www.nemc.or.kr) 홈페이지에 행동요령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