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건물이나 공공시설이 여전히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가 30일 공개한 '2013년 장애인편의시설 설치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전국 약 14만1천동 건물에 설치된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승강기·장애인화장실 등 장애인 편의시설은 모두 428만여개로 집계됐다. 이는 법에 따라 규정된 필요 시설 수 630만여 개의 68% 정도이다.
점자 블록 등을 빼고 장애인이 건물을 이용하는데 필수적 편의시설만 따진 '핵심시설' 설치율은 이보다 다소 높은 73%였다.
편의시설 종류별 설치율은 주출입구 접근로·장애인주차구역 등 건물 출입과 관련된 매개시설이 69.5%로 가장 높은 반면, 장애인용 화장실 등 위생시설은 46.7%로 매우 낮았다.
건물 유형 중에서는 관광·휴게시설의 설치율이 80.8%로 최고였고, 이어 교정시설(78.0%), 문화·집회시설(75.3%), 의료시설(74.9%), 방송통신시설(74.2%) 등의 순이었다. 반면 가장 설치가 미흡한 장소는 공장(52.6%), 공원(55.3%) 등이었다.
복지부 관계자는 설치율이 70%에도 미치지 못하는데 대해 "1998년 신축 건물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가 의무로 규정되기 전 지어진 건물은 증축이나 용도변경 등의 경우에만 편의시설을 새로 갖추도록 돼있다"며 "또 1998년 이후 지어진 건물이라도 공간 제약 등으로 세부 설치기준을 모두 충족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12/30 12:0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