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면역력 70% 장에서 생성
잦은 복통·피로 장 건강 적신호
유해균 늘리는 가공식품 줄여야
고단백 식품보다 발효음식 좋아
중학교 1학년생 자녀를 둔 정모(43·춘천)씨는 최근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가 유난히 잦은 복통과 피로감을 호소해 병원을 찾았다. 진찰 결과 스트레스로 인한 과민성대장증후군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청소년기 아이들은 과제와 성적, 교우관계와 환경 변화 및 급격한 신체 변화 등으로 스트레스가 많다.
`이유 없이 왜 배가 아프냐'고 타박하지 말고 아이의 장 건강에 관심을 가져보자. 장은 음식을 소화하고 배출하는 기능이 대표적이지만 각종 질병에 대항해 몸을 지켜내는 면역력의 70%가 바로 장에서 만들어지기도 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강원지부 장재호 건강증진의원장의 자문을 통해 장 건강을 위한 유의사항을 챙겨본다.
■장의 기능은=장 속에 사는 무수한 세균은 건강 유지에 필수다. 장 점막에는 무려 100조 마리 이상의 세균이 살고 있으며 400~500여 종의 다양한 세균이 음식물과 장의 분비액을 영양소로 바꿔 우리에게 필요한 대사물질을 생성한다.
또 몸속에 침입한 외부 물질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면역 기능을 수행하며, 장으로 들어온 음식의 영양소가 혈액으로 흡수되도록 돕는다. 장의 연동기능을 촉진하는 것 또한 장내 세균의 하나인 젖산균의 기능이다.
하지만 모든 장내 세균이 좋은 기능을 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살모넬라균, 이질균, 포도상구균 등 몸속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유해균도 많다.
유해균은 컨디션이나 건강상태가 나빠지면 강력하게 작용해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장에는 유해균과 유익균이 함께 사는 것이다.
■유익균을 위한 좋은 식단=유익균과 유해균은 모두 그 먹이와 식성이 다르다. 어떤 음식을 섭취하는가에 따라 유익균과 유해균의 개체 수 및 활동 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유익균은 탄수화물과 식이섬유를 즐겨 먹고, 유해균은 단백질과 지방을 좋아한다.
고단백, 고지방 음식을 피하고 과일과 채소를 섭취하면 자연스럽게 유익균이 득세할 수 있다. 장내 유해균은 당분과 가공식품을 통해 가장 많이 유입된다.
평소 과자나 아이스크림 및 가공식품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청소년 장 건강에서 가장 우선이 되는 생활수칙이다. 우리나라는 된장이나 김치와 같은 발효음식을 자주 먹어 장의 유익균을 섭취하기에 무척 좋은 환경이다.
된장이나 청국장은 10분 이내로 조리하는 것이 유익균 보존에 좋고, 김치는 담근 지 8일 후 가장 높은 젖산균 수치를 나타낸다. 장 건강의 대표식품인 요구르트 속 젖산균은 위산에 약한 성질이 있으므로 위산의 영향이 적은 식후에 먹는 것을 권장한다.
■스트레스와 항생제는 되도록 멀리=스트레스가 장에 미치는 악영향은 상당하다. 스트레스가 많으면 소화기관의 운동과 소화액 분비가 둔해지면서 장내 유해균 증식이 활발해진다.
스트레스를 스스로 해결하는 방법을 익히지 못한 사춘기 자녀를 위해 가족 여행이나 유쾌한 영화 관람, 좋아하는 운동을 찾아 즐기도록 도와야 한다. 단순한 감기나 가벼운 몸살 증상을 보일 때에는 최대한 항생제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항생제는 장내에 도움이 되는 미생물까지 죽이거나 억제하는 성질이 있어 자연스럽게 체내로 유입되는 바이러스에 대항할 유익균의 성장을 막는다.
최기영기자 answer07@kwnews.co.kr
저작권자ⓒ강원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기사는 디지털뉴스 저작권신탁관리기관인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정하는 기준과 방법에 따라 이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