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ㆍ수도권 전세가율 70% 초과지역 속출.. 매매 전환 기대감 크지만


등록일 2014-10-20
정보제공처 뉴스와이즈



서울과 수도권에서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이 70%를 넘는 지역이 잇따라 전세 수요의 매매 전환이 시작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그러나 정부의 9ㆍ1부동산 정책으로 수혜지역으로 불리던 강남권 단지 및 주택값 상승이 계속되던 일부 지역에서는 정부와 국회의 후속조치가 더디게 이어지자 호가 하락 등 거래공백 우려가 높아가고 있다.


■전세가율 높은 성동 등 매매도 증가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세가율과 주택거래량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세가율이 높은 곳에서 아파트 매매 거래량 증가가 두드러졌다.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율은 지난달 기준 67.1%로, 지난해 1월과 비교하면 7.4%포인트 올랐다. 지역별로는 서울 65.4%, 인천 66.0%, 경기 68.4% 등이다.

서울의 경우 전세가율이 70%를 웃도는 성동.서대문.동작.구로.중랑.동대문.중.강서.관악.성북구 등 10개 지자체의 매매 증가율(지난해 1∼9월 대비 올해 1∼9월의 증가율)은 52.8%로 집계됐다. 지난해 1∼9월 1만6000가구가 거래됐으나 올해 같은 기간에는 2만5000가구가 매매됐다.

그러나 전세가율 65% 이하인 은평.종로.송파.서초.강동.용산.강남구 등 8개 구의 매매 증가율은 38.3%(1만6000가구→2만2000가구)에 그쳤다.

특히 중랑구와 용산구, 동대문구, 영등포구에서 거래상승률이 높아 이들 4개 지자체를 제외하면 대체로 전세가율이 높은 곳에서 거래 상승 폭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지역도 전세가율 70% 이상인 화성.오산.의왕.군포.수원.구리.하남.안양.부천 등 9개 시의 매매 증가율은 54.7%(3만2000가구→4만9000가구)에 달해 전세가율 65% 이하인 파주.김포.용인.여주.남양주.포천.양주.광주.과천 등 9개 시의 28.3%(2만7000가구→3만5000가구)를 크게 웃돌았다.


■거래절벽 우려, 법안 통과 시급

그러나 정부의 잇단 부동산 규제 완화 드라이브로 활기를 띠던 강남권과 일부 지역의 재건축 및 일반 아파트 거래가 주춤해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는 이달 들어 2000만∼3000만원가량 호가가 하락해 112㎡ 시세는 11억3000만∼11억5000만원, 115㎡는 11억9000만∼12억원 선이다. 강남구의 대표적 재건축 단지인 개포 주공1단지는 이달 들어 호가가 3000만∼4000만원씩 하락했지만 매수자가 거의 없다.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달 가격이 오르면서 분위기가 뜨는 것 같더니 다시 꺾여 이달 들어 거래절벽 현상이 나타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9.1대책의 최대 수혜지로 꼽히던 목동 일대도 마찬가지다.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매도자는 금액을 낮추려 하지 않고 매수자는 비싼 값에 사지 않으려 해 거래 공백상태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새 경제팀 출범 이후 회복세를 보이던 주택경기가 다시 꺾이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거래 공백이 길어지면 집주인들이 호가를 낮출 수밖에 없고 집값 역시 하락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수년간 침체일로의 주택경기가 간신히 찾은 회복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 부동산 관련 법을 서둘러 통과시켜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유럽을 비롯한 세계 경제 위기로 국내 경제도 위협받는 상황에서 강력한 추가 규제 완화 및 후속 입법 등의 조치가 따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pio@fnnews.com 박인옥 김현우 기자

저작권자ⓒ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기사는 디지털뉴스 저작권신탁관리기관인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정하는 기준과 방법에 따라 이용해야 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