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국기헌 기자 = 대학교수들은 학교가 학생 진로지도에 더 많은 역량과 시간을 할애할 것을 요구하지만, 진로지도에 필요한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지원은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은 4년제 대학 교수들이 학생들을 진로지도 할 때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알아보려고 전국의 4년제 대학교수 200명을 상대로 설문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5일 밝혔다.
교수들은 학생 진로지도를 하면서 진로상담(93.0%), 생활상담(79.0%) 등에 비중을 뒀지만 취업처 발굴 및 연계(39.0%), 인턴십 등 취업관련 실습 지도(33.0%), 취업교과목 운영(20.5%) 등에는 상대적으로 비중을 낮게 뒀다.
교수들은 진로지도를 할 때 업무 과다로 인한 시간부족(35.5%)과 진로지도 정보 및 전문성 부족(24.0%)을 동시에 호소했다.
<그림>교수가 학생 진로지도 시, 어려움을 느끼는 주된 이유(%)
교수들은 학생 진로지도를 위해 소속 대학이 실시하는 정책이나 지원으로 취업률 목표설정과 달성 독려(89.5%), 취업률을 평가에 반영(82.0%), 진로지도 및 상담 실적을 평가에 반영(79.0%) 등을 꼽았다.
반면 관련 자료 제공(66.5%), 관련 연수 제공(39.0%), 인력 지원(45.5%) 등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교수들이 학생 진로지도를 하면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비용 및 예산 지원(29.4%)이었고 관련 자료 및 교육 제공(27.7%) 이 뒤를 이었다.
<그림>대학이 교수 진로지도를 위해 실시하는 정책 및 지원
교수들은 학생 진로지도에 필요한 정보를 본인의 지식 및 경험(41.5%)을 활용하거나 전공 관련 지인 등 아는 사람(35.5%)을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5/03/05 12:0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