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말기암 환자가 자신의 질환을 인지해도 생존 기간이 단축되지 않고, 완화의료를 이용해도 조기에 사망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국립암센터는 윤영호 박사(사진) 연구팀이 국립암센터, 서울아산병원, 계명대 동산의료원, 충남대병원, 강릉아산병원, 서울대병원, 경희대병원 등 국내 11개 대학병원의 18세 이상 말기암환자 48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코호트연구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말기 진단 직후부터 암환자를 추적 조사한 결과, 50%가 약 70일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달 이내에 20%가 사망하는 반면, 3개월까지 약 40%가, 6개월까지는 약 18%가 생존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흔히 우려하는 것과는 달리 말기라는 사실을 알게 되더라도 생명이 더 단축되는 것은 아니며, 완화의료를 이용한다 해도 더 조기에 사망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연구팀은 “해가 될 수 있는 부적절한 치료를 피하고, 완화의료를 선택하며,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것과 같이 삶의 마지막을 준비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말기라는 사실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생존기간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의사들이 말기환자 관리에 대해 계획을 세우고, 정책결정자들이 자원과 지원서비스를 적절히 배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말기 진단 직후에 정확한 생존기간에 대한 자료가 부족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그동안의 연구들이 완화의료기관에 의뢰된 시점에서 조사를 시행해, 절반이 11일에서 49일내 사망했다는 짧은 생존기간만을 보고해 왔다고 평가했다. 특히 그동안 환자가 말기라는 사실을 알거나 완화의료를 이용할 경우 더 빨리 죽음에 이르게 할 것이고 여겨왔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윤영호 박사는 “이 연구와 함께 미국과 캐나다 등의 최근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완화의료를 이용하더라도 더 빨리 사망하는 것은 아니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신체정신사회적 관리를 통해 오히려 증상조절이 잘 되고 삶의 질이 호전돼 생존기간이 늘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윤 박사는 “이 연구결과는 그 동안 말기 통보와 완화의료에 대해서 잘못 이해하고 있는 점들을 바로 잡는데 의의가 있다”며 “암환자가 더 이상 적극적인 생명연장이 어려운 시점이 되면 의료인들은 말기라는 사실을 알리고 좀 더 조기에 완화의료에 의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논문은 종양학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로 인정받는 임상종양학회(Journal of Clinical Oncology)지에 6월 20일자로 게재됐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저작권자ⓒ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기사는 디지털뉴스 저작권신탁관리기관인 한국언론재단이 정하는 기준과 방법에 따라 이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