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종묘공원에 삼삼오오 모여 정담을 나누고 있는 노인들(자료사진) |
(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 = 우리나라의 100세 이상 초고령자가 2060년까지 30배 이상 급증할 전망이다.
현재 1천800여명 수준인 상수(上壽)노인이 8만명을 넘어선다는 것이다. 상수는 사람 생애 중 최고의 수명이란 뜻으로 100세를 일컫는다.
13일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보면 100세 이상 노인은 2060년에 총인구의 0.19%인 8만4천283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100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 통계청의 인구주택 총조사에서 1천836명으로 집계돼 2005년(961명)보다 91% 늘었다. 내년에는 2천716명(0.01%), 2030년 1만2천305명(0.02%)로 늘어난 뒤 2040년에는 2만5천869명(0.05%), 2050년 3만8천125명(0.08%)으로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의학 발달과 생활환경 개선 등에 힘입어 100세 이상 노인이 향후 50여년 간 30배 이상 늘어난다는 것이다.
성별로는 2012년~2060년에 100세 이상 남자가 58.7배 늘지만 여자는 31.4배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100세 이상 남자는 2012년 342명에서 2030년 1천441명, 2060년 2만56명으로 늘고 여자는 내년 2천44명에서 2060년 6만4천227명으로 증가한다.
95세 이상 인구도 내년 2만2천387명(0.04%)에서 2030년 10만6천270명(0.20%), 2060년 56만7천152명(1.29%)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런 추계는 중간 수준의 출산율과 기대수명, 국외인구 유입을 전제로 한 가정에 따른 것이다. 높은 수준의 출산율과 기대수명 등을 가정하면 100세 이상 인구는 훨씬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 가정을 적용하면 2060년에 100세 이상 인구는 20만4천17명으로 총인구의 0.37%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95세 이상 인구도 훨씬 큰 폭으로 늘어 101만2천252명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표> 100세 이상 인구 추계
연도 |
100세 이상 |
구성비 |
2012 |
2,386 |
0.00 |
2020 |
5,250 |
0.01 |
2030 |
12,305 |
0.02 |
2040 |
24,346 |
0.05 |
2050 |
38,125 |
0.08 |
2060 |
84,283 |
0.19 |
※출처=통계청
(서울=연합뉴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11/12/13 04:55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