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마다 이불에 '지도' 그리는 아이, 꾸중은 NO!


등록일 2013-07-22
정보제공처 뉴스와이즈




야뇨증으로 이불에 지도를 그린 아이를 표현한 그림. (그림)

야뇨증으로 이불에 지도를 그린 아이를 표현한 그림. (그림)




5살 넘은 아이가 잠을 자다 이부자리에 오줌을 싸면 ‘야뇨증’이라고 부른다. 야뇨증이 있으면 아이들이 심리적으로 심하게 위축되는 등 성격 형성에 악영향을 끼친다. 여름방학인데도 여행을 가거나 영어캠프에 참여하는 게 어렵게 되는 등 일상 생활도 많이 불편해진다. 서울대병원 소아비뇨기과 김광명 교수의 도움말을 받아 어린이 야뇨증의 원인과 치료법을 살펴본다.

◆야뇨증의 증상과 원인

보통 한 달에 한 번 이상 잠자리에서 오줌을 싸면 야뇨증으로 간주하며, 병원을 찾는 아이들은 일주일에 세 번 이상 ‘실례’를 하는 일도 많다.

대한소아비뇨기과학회 자료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우리나라 5∼12세 아동 중 남아의 15.2%, 여아의 10.3%가 1년에 한 번 이상 이불에 오줌을 싼다. 유치원생 중에서는 남아의 27.8%, 여아의 21.5%가, 초등학생 중에서는 남아의 11.2%, 여자의 6.9%가 이 같은 증세를 보였다.

야뇨증은 나이가 들면 점차 없어지기도 하지만, 일부는 사춘기가 되어서도 소변을 가리지 못한다. 사춘기 청소년의 2∼5%가 야뇨증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성인은 대략 1.5∼3%에 야뇨증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뇨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수면 시 각성 장애, 방광 용적 감소, 항이뇨호르몬 분비 이상 등이 꼽힌다. 방광에 소변이 가득 차면 뇌가 자극을 받아서 잠에서 깨게 되는데, 야뇨증이 있는 아이는 방광 자극에 의한 뇌의 각성 기능의 이상으로 잠에서 깨지 못한다. 또 방광 용적이 줄어 있어 소변량이 방광 용적을 넘게 됨에 따라 야뇨증 증세를 보인다. 항이뇨호르몬(ADH)의 증가가 적은 것도 야뇨증의 원인이 된다.

김광명 교수는 “항이뇨호르몬은 야간에 분비가 많아져 밤에 소변량을 줄이는 것이 정상”이라며 “야뇨증이 있으면 야간에 항이뇨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하지 않아 밤에도 소변이 많이 만들어지고, 이로 인해 야뇨증이 발생한다는 이론이 최근에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설명한다.

야뇨증은 가족력도 있다. 부모 모두 야뇨증이 있었으면 자녀의 77%, 한쪽만 있었던 경우는 자녀의 44%에서 야뇨증이 발생한다. 부모 모두 야뇨증이 없었으면 자녀의 15%만 야뇨증 증세를 보였다.


◆야뇨증의 치료법

야뇨증의 원인에 대해 많은 이론이 있는 만큼, 그 치료법도 다양하다.

의사들이 공통으로 강조하는 생활습관은 대체로 다섯 가지다. 우선 치료에 대한 반응을 환자와 부모, 의사가 알 수 있도록 매일 배뇨일지를 적는다. 또 저녁에 음료 섭취를 줄이고, 자기 전에 꼭 소변을 보도록 한다. 방광을 자극하는 카페인 음료도 먹지 못하게 한다. 변비를 없애는 것도 야뇨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 변을 지리게 되면 방광을 누르고 되고, 방광 근육의 수축이 잦아 야뇨증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치료법으로는 소변경보기를 이용한 행동요법과 약물 치료요법이 있다.

소변경보기 치료는 아이의 속옷에 조그마한 경보기를 달아 오줌을 싸면 ‘삐∼’ 소리가 나게 하는 방법이다. 이를 여러 번 반복하면 나중에는 방광에 소변이 찼을 때, 배뇨가 일어나기 전 스스로 일어나 소변을 보는 습관을 몸에 들이게 된다. 행동치료법은 약물 치료보다 성공률이 높고 재발률도 낮지만, 치료에 2∼3개월 걸린다.

약물 치료는 항이뇨호르몬제를 투여하고, 동시에 방광 용적을 크게 하는 방광이완제를 사용한다. 야뇨증을 치료할 때는 아이를 안심시키고 오줌을 지린 아이가 죄책감을 갖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달력에 오줌을 싸지 않은 날을 표시할 수 있도록 스티커를 붙여주고 칭찬·격려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자기 전에 소변을 미리 보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지만, 자는 아이를 깨워서 소변을 보게 하는 것은 치료효과가 크지 않고 역효과가 생기므로 삼가야 한다.



박창억 기자


저작권자ⓒ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기사는 디지털뉴스 저작권신탁관리기관인 한국언론재단이 정하는 기준과 방법에 따라 이용해야 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