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복행사에 학부모와 학생이 몰려 중고 교복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하고 있다. (연합뉴스DB)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신학기를 앞두고 '고가 교복', '교복 담합' 등의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자 교육 당국은 일선 학교가 나서서 학부모들에게 교복 구매 요령을 안내하도록 지도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최근 시내 중·고등학교에 신입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교복 구매 안내와 생활지도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25일 밝혔다.
교육부가 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교복가격 상한선을 20만3천84원으로 제시하는 등 각종 대책을 내놓았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고가의 교복이 나오는 것은 물론 교복이 일찌감치 동나버리거나 4대 브랜드의 가격이 모두 같아 담합 의혹이 제기되는 등 논란이 끊이지 않는 데 따른 것이다.
우선 시교육청은 일선 초·중·고교에 예비 중·고교생을 대상으로 합리적인 교복 구매 방법을 알리도록 했다.
또 교복업체나 교복 대리점이 금품을 주고 학생들을 자사 교복 판촉에 동원하지 못하도록 학생 등을 대상으로 생활지도를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다.
학교 주관 구매나 공동구매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교복 간소화를 위해 평소 생활복을 활용토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도록 했다.
교복 물려주기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학교가 자율적으로 '교복 나눔행사'를 연중 시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매 학기 시작 전이나 동·하복 착용 전 졸업생이 기부한 교복을 나누는 행사를 열고, 남은 교복은 교내 별도로 마련된 나눔장소에서 보관하다가 교복이 필요한 전학생이나 재학생이 생기면 상시 나눠주는 식이다.
학교는 교복나눔행사를 언제 시행하는지 홈페이지와 가정통신문을 통해 학부모·학생에게 사전 공지하고 각종 교육활동을 홍보할 때도 해당 내용을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
이외에도 학교별로 특색있는 교복나눔행사를 시행하고 지역교육청은 시교육청에 관내 학교의 교복 나눔 실적과 우수사례를 보고하도록 했다.
eu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4/02/25 05:45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