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ㆍ일용ㆍ저임금 근로자 5명중 1명만 사회보험 가입


등록일 2014-11-20
정보제공처 연합뉴스



서울시내 한 인력사무소에서 일용직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시내 한 인력사무소에서 일용직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임시ㆍ일용직이나 100만원 미만의 월급을 받는 저임금 근로자 중 사회보험에 가입된 사람들이 5명 중 1명꼴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사회보험 가입 현황을 보면 올해 4월 기준으로 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가입률은 68.9%, 건강보험은 72.0%, 고용보험은 68.8%를 기록했다.

이는 1년전보다 0.8%포인트, 1.0%포인트, 2.1%포인트씩 개선된 수치다.

남자 임금근로자는 국민연금에 74.1%, 건강보험에 77.8%, 고용보험에 74.1% 가입해 여성의 국민연금 가입률 62.2%, 건강보험 가입률 64.4%, 고용보험 가입률 61.9%와 10%포인트 이상 격차를 보였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의 96.9%가 국민연금에, 98.9%가 건강보험에, 96.6%가 고용보험에 가입했다.

이에 비해 임시ㆍ일용근로자는 국민연금에 17.3%, 건강보험에 22.4%, 고용보험에 22.4%만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개월 월평균 임금수준별로 보면 400만원 이상 임금근로자는 국민연금에 96.6%, 건강보험에 98.0%, 고용보험에 95.2% 가입했다.

반면, 100만원 미만 근로자는 국민연금 가입률이 15.0%, 건강보험은 20.3%, 고용보험은 19.9%에 그쳐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상용근로자는 임시ㆍ일용직 근로자보다, 400만원 이상 임금근로자는 1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보다 약 5배 사회보험 가입률이 높은 셈이다.

연령대별로는 30대의 사회보험 가입률이 가장 높은 가운데 40~49세, 15~29세, 50~59세, 60세 이상 등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의 사회보험 가입률이 높았고 농림어업이 낮았다. 직업별로는 관리자의 가입률이 높았고 단순노무종사자는 낮았다.


spee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4/11/19 12:00 송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