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노인 인구 14%…인력 개발, 전문성·일자리 연계에 초점
(인천=연합뉴스) 최은지 기자 = 인천시 미추홀구에 사는 이정순(69)씨는 지난해 인생 첫 공인 자격증을 취득했다.
집에서 부업으로 소일거리를 해오던 이씨는 '전문 시니어'를 양성하는 노인인력개발센터 관할 사업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바로 신청했다.
대상으로 선정된 이씨는 5주 동안 관련 교육을 수강한 뒤 필기와 실기 시험을 거쳐 2급 예절교육지도사 자격증을 딸 수 있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예정대로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파견 강사로 배치되지는 못했지만, 이씨에게 새로운 취업의 길이 열린 셈이다.
이씨는 "요즘 시대로 따지면 한창나이인데 새로운 일을 시작해보고 싶어 자격증 과정을 듣게 됐다"며 "일단 아이들과도 소통할 수 있는 직업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좋은 점"이라고 말했다.
전국적으로 고령화가 가속화하는 가운데 인천 내 군·구가 기존의 노인 일자리 사업을 넘어 보다 전문성 있는 시니어 인력을 기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해 11월까지 강화·옹진군을 제외한 8개 군·구와 함께 노인 179명을 대상으로 한 전문 교육을 마쳤다고 10일 밝혔다.
현행 노인 일자리 사업은 크게 공익형 일자리와 시장형·인력파견형 일자리로 나뉘는데 이 중 후자의 참여 폭을 넓히자는 게 사업 취지다.
공익형의 경우 활동 기간 9∼12개월에 활동비도 월 27만원으로 정해져 있지만, 시장형·인력파견형은 일하는 기간에 별다른 제한이 없고 임금도 수익에 따라 더 가져갈 수 있어 더 질 좋은 일자리로 분류된다.
그러나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통계를 보면 지난해 노인 일자리 참여자 62만2천444명 가운데 시장형 일자리 참여자는 6만6천972명(10.7%)에 그쳤다.
이에 인천 내 기초자치단체들은 치매예방관리사·제과제빵·아로마 테라피·마사지 등 공인 자격증을 딸 수 있는 교육 과정을 노인들에게 주로 지원하고 있다.
부평구의 경우 아로마 테라피 교육을 받은 시니어 인력이 공방에서 일할 수 있도록 일자리를 연계했고, 남동구도 '약손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마사지 자격증을 딴 노인들에게 일자리를 줄 방침이다.
동구는 지난해 쿠킹 클래스를 들은 시니어 인력 8명에게 카페 취업을 연계하고, 올해는 노인들로 구성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홍보 서포터즈를 양성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계속되는 고령화 추세에 질 좋은 노인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고 보고 올해도 예산 5천만원을 들여 노인 200명의 전문 시니어 양성 과정을 지원할 방침이다.
실제로 지난달 기준 인천 전체 인구 294만2천828명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은 41만1천483명(13.97%)에 달한다.
예비 노인 세대로 분류되는 50∼64세 인구도 73만6천880명으로 인천 전체 인구의 25%를 차지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그동안의 노인 일자리가 단순 업무에 집중됐다면 어르신들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전문성 양성과 취업 알선이 이번 사업의 가장 큰 목적"이라며 "수익에 따라 월 100만원이 넘는 급여를 받는 어르신도 있다"고 말했다.
chams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1/02/10 07:0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