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폭염으로 평소보다 땀이 나기 쉽다. 특히 옷이 얇아 비치기 쉬운 다한증 환자에게는 이만저만 고역이 아니다. 다한증(땀과다증)이란 체온 조절을 위해 흘리는 땀 보다 비정상적으로 많은 땀이 분비되는 질환으로 지나친 땀으로 대인관계, 직장생활에 스트레스로 작용하거나 정서적 장애를 초래한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땀이 많이 나는 여름철을 맞아 ‘다한증 치료제’를 올바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의약품 안전사용매뉴얼’을 발간한다고 23일 밝혔다.
다한증의 치료에는 외과적으로 처치하는 ‘수술적 치료’와 치료제 등을 이용하는 ‘비수술적 치료’가 있다.
‘수술적 치료’는 땀 분비와 관계된 신경을 외과적으로 절제하는 것이며 ‘비수술적 치료’에는 수술 대신 ‘다한증 치료제’를 사용해 땀구멍을 막아 땀의 배출을 억제하거나 ‘보툴리눔 독소 주사’를 이용해 땀샘의 신경세포를 차단하는 방법 등이 있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다한증 치료제’는 다한증 있는 부위에 바르는 일반의약품으로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염화알루미늄’ 또는 ‘글리코피롤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한다.
그러나 땀냄새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액취방지제’는 땀의 분비를 억제하는 다한증 치료제와는 다르다.
‘염화알루미늄’은 겨드랑이, 손, 발에 있는 에크린 땀샘에 젤리 형태의 막을 형성해 물리적으로 땀구멍을 막아 땀 분비를 억제한다.
먼저 저녁에 적당량을 바른 후 다음날 아침에 물로 씻으면 되고 땀이 멈출 때까지는 매일 1회 사용하고 증상이 나아지면 일주일에 1~2회만 사용하면 된다. 수분이 있으면 화끈거릴 수 있으니 사용 부위를 완전히 건조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사용 후 동공이 확대되거나 시야흐림, 입마름증, 어지러움, 피부 발진 및 자극감 등이 나타나면 사용을 중지하고 의사?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과도한 땀 분비가 과도하게 지속적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다한증이 아닌 결핵, 갑상샘 기능 이상 등 다른 질병이 원인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식약처 관계자는 “안전사용매뉴얼을 통해 땀 분비가 늘어나는 여름철을 맞아 다한증 치료제를 올바르고 안전하게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안전사용매뉴얼은 ‘온라인 의약도서관’ 〉 의약품분야서재 〉 ebook 리스트에서 확인 할 수 있다.
헬스팀 최성훈 기자 cshoon@segye.com
저작권자ⓒ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기사는 디지털뉴스 저작권신탁관리기관인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정하는 기준과 방법에 따라 이용해야 합니다.〉